한국수필작가회
 
latest post | member list | registration of this day | search center
 
ID
PASS
자동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찾기
회원에 가입하세요, 클릭

| 작가회 신입회원 가입 안내 |

신간 소개
동인지 출간 목록
회원 작품집 출간
문학상 수상 기록표
추천 사이트
예술 작품 감상
에세이 100편 고전 수필
국내 산문 해외 산문

오늘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수
최고 방문자수
방문자수 누계

한국동인지문학관 바로 가기
한국수필가협회 바로 가기
 
  [4강] 수필의 종류. 수필의 문체
  글쓴이 : 고동주 날짜 : 03-11-25 06:04     조회 : 4378    
[4강] 수필의 종류. 수필의 문체


6. 수필의 종류

수필의 종류와 문체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수필가 장백일의 분류 방식에 따른다.

1)서정(抒情) 수필

기쁨, 분노, 비통, 공포, 수심, 사랑 등 주로 자신의 정서를 그려내는 수필이다.

2)사경(寫景) 수필

대상을 마치 그림이나 사진을 보듯 언어로 묘사한 수필이다.

3)서사(敍事) 수필

일상적인 사건을 그린 수필이다.

이상의 분류 외에 서간문식, 일기식, 기행문식, 칼럼식도 있으나 순수 수필과는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7. 수필의 문체(文 )

수필 문체도 여러 가지 양상(樣相)으로 구분된다.
문체를 스타일 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1) 간결체(簡潔 )
많은 내용을 간결한 어구로 압축하여 함축성 있게 나타내는 문장 스타일이다.

2)만연체(蔓延 )
비교적 장문이고 설명조이다. 사건의 전모를 상세하게 기술하는 문장이다.

3)강건체(剛健 )
뜨거운 정렬, 격렬한 분노, 저항, 반대, 굳건한 결의 등 감정을 주로 표현하는 문장이다.

4)우유체(優柔 )
부드럽고 온건하며 비교적 미문조(美文調)의 문장이다.

5)건조체(乾燥 )
비유나 수식이 없고, 직접적인 의사 전달에 치중하는 문체다.

6)화려체(華麗 )
수식 위주의 문장이다. 한 문장에 비유(다른 대상에 빗대는 것)나, 직유(직접 빗대어서 나타냄)나, 은유(보조 관념을 들어내는 것)나, 의인법(사물을 사람인 것처럼 나타내는 것) 등이 중첩되어 있다.
그러나 미문(美文)을 위한 미문에 치우치다 보면 오히려 현실감이 감소되기 쉬운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7)소박체(素朴 )
소박하고 단순한 문장으로 가장 표본적인 문체라 할 수 있다.
지나친 기교도 부리지 않고, 일상 회화에 쓰이는 자연적인 서술을 중요시 한다.
순수 문장으로 그 속에 감동을 일으킬 수 있는 주제를 용해시키면 좋은 수필이 될 수 있다.

8)교문체(巧紋 )
표현과 구성에 기교가 많은 문장이다. 수필에 더러 쓰여지나 교묘하면서도
치밀하게 꼭 들어가야 할 데가 있다. 잘못하면 수필의 맛을 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기교가 많은 문장은 결코 좋은 문장이라 할 수 없다.


수필 특강
게시물 211
No Title Name Date Hit
31 [4강] 수필의 종류. 수필의 문체 고동주 03.11.25 4379
30 [3강] 수필의 생리. 수필의 위치. 수필의 매력. 시… 고동주 03.11.25 2817
29 [2강] 제1장 수필의 정의 - 수필이란 고동주 03.11.25 3484
28 [1강] 강의을 시작하면서 고동주 03.11.25 2796
27 [15 장] 소재를 발견하는 법 정목일 03.11.25 3537
26 [14 장] 퇴고 정목일 03.11.24 2812
25 [13 장] 나의 수필작법 정목일 03.11.24 3185
24 [12 장] 제목 달기 정목일 03.11.24 3358
23 [11 장] 수필의 문장과 수사법 정목일 03.11.24 5649
22 [10 장] 바로 잡아야 할 수필의 개념 정목일 03.11.24 3144
21 [9 장] 수필의 구성과 실제 정목일 03.11.24 3994
20 [8 장] 소재란 무엇인가 정목일 03.11.24 3769
19 [7 장] 수필의 문장 정목일 03.11.24 3477
18 [6 장] 주제란 무엇인가 정목일 03.11.24 4478
17 [5 장] 수필의 서두 정목일 03.11.24 4567
16 [4 장] 풀꽃이 되어(개성적인 수필이 돼야) 정목일 03.11.24 3006
15 [3 장] 수필의 모습 정목일 03.11.24 2778
14 [2 장] 수필은 어떤 글인가 정목일 03.11.24 3203
13 [1 장] 처음 수필을 쓰는 사람들을 위해 정목일 03.11.24 3424
12 수필과 시의 문장구조상 차이 유경환 03.11.24 3513
 1  2  3  4  5  6  7  8  9  10    
 
한국수필작가회 http://www.essay.or.kr 사무국 이메일 master@essay.or.kr 사이트 관리자 이메일 hipe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