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필작가회
 
latest post | member list | registration of this day | search center
 
ID
PASS
자동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찾기
회원에 가입하세요, 클릭

| 작가회 신입회원 가입 안내 |

신간 소개
동인지 출간 목록
회원 작품집 출간
문학상 수상 기록표
추천 사이트
예술 작품 감상
에세이 100편 고전 수필
국내 산문 해외 산문

오늘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수
최고 방문자수
방문자수 누계

한국동인지문학관 바로 가기
한국수필가협회 바로 가기
 
  대한 끝에 양춘 있다 /김준섭
  글쓴이 : 변영희 날짜 : 17-01-20 05:44     조회 : 1151    
대한(大寒)

오늘 대한을 맞이하였으니  이후에 따뜻한 봄날이 오리라.
끝자락의 모진 추위 견뎌 내어야 봄을 맞아 즐거움이 새롭겠지.
 
今當大寒日금당대한일
此後有陽春차후유양춘
耐得寒頭苦내득한두고
逢春樂意新봉춘낙의신

- 유인석(柳麟錫, 1842~1915), 『의암집(毅菴集)』 권2
 
 해설
  올해 양력 1월 20일은 절기로 대한(大寒)이다. 실제로는 소한의 추위가 더 맹렬하지만 이름 때문에 그런지 대한이 일 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인식되곤 한다. 대한 이후에는 추위가 한풀 꺾이고, 며칠 있으면 봄소식을 알리는 입춘을 맞이하니 대한은 따뜻한 봄을 향한 마지막 관문이다. 그래서 이때쯤이면 남은 추위를 어찌 보낼까 하는 걱정보다는 다가올 봄날에 대한 기대가 앞선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자연의 변화는 우리 인생살이의 굴곡과도 비슷하다. 매서운 겨울 마냥 어렵고 힘든 때가 있으면 따뜻한 봄날처럼 즐겁고 행복한 시간도 있다. 대한과 같은 힘든 고비만 잘 견뎌 내면 분명 좋은 날은 오게 마련이다. 이러한 인생의 법칙을 잘 표현한 속담이 ‘대한 끝에 양춘(陽春) 있다.’이다.
 
  이 시의 지은이 의암 유인석 선생은 조선 말 위정척사 사상으로 잘 알려진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58년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스승 이항로와 함께 상경하여 혼란한 민심을 목도하였고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자 화서학파의 동문들과 의기투합하여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5년 일제가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단발령을 시행하자, 선생은 일제의 만행에 분개하여 의병을 일으켰다. 의병대의 규모는 한때 3,000명이 넘을 정도였지만 제천 전투에서 일본의 지원을 받은 관군에게 패해 치명적 타격을 입게 된다. 선생은 본거지를 서간도로 옮겨 재기를 도모하였으나 일본의 사주를 받은 중국 관리의 횡포로 불가피하게 의병대를 해산할 수밖에 없었고, 이후 망명길에 오르게 된다.
 
  선생은 망명 중에도 두 차례 귀국하여 고종을 접견하고 제자들을 양성하기도 하였으나 한일신협약이 체결되자 국내에서 항일투쟁을 할 수 없다고 판단해 연해주로 떠났다. 연해주에서 십삼도의군(十三道義軍) 도총재(都總裁)를 맡아 의병 세력들을 규합하고 합병 반대 서명 운동을 전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지만, 일본의 공작으로 연해주의 항일 운동가들이 체포되기 시작하자 다시 만주로 거점을 옮기게 된다. 그곳에서 망명 온 지사들을 모아 항전을 준비하던 어느 추운 겨울날, 74세의 일기로 한스러운 생을 마쳤다.
 
  이렇듯 모진 삶을 살았던 선생이기에 대한을 맞아 쓴 시에는 큰 울림이 있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듯 조국에도 좋은 시절이 올 것이란 확신과 그날이 온다면 혹독한 추위와 같은 고난쯤은 얼마든지 견디겠다는 선생의 결연한 의지가 느껴지는 것 같다. 선생이 만리타국에서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도 구국의 횃불을 높이 들었던 것은 이러한 확신과 의지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안타깝게도 선생은 봄날이 오는 것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선생의 말대로 대한이 지나 봄날은 다시 왔고, 그 즐거움은 새로웠다.

출처 - 고전번역연구원


국내 산문
게시물 198
No Title Name Date Hit
178 일자리와 삶자리/ 박 원 재 변영희 17.07.14 1083
177 봄날은 간다/ 송 재 소 변영희 17.06.06 1224
176 ‘임을 위한 행진곡’, 화려한 부활! /유 지 나 변영희 17.05.16 1152
175 역사 앞에서 / 韓文熙 변영희 17.05.04 1112
174 큰 도둑, 작은 도둑/강 명 관 변영희 17.04.14 1178
173 관리를 뽑는 이유 /조경구 변영희 17.03.23 1134
172 인공지능, 적인가 친구인가? /송 재 소 변영희 17.03.14 1184
171 문명과 야만을 구분하는 야만을 넘어 /김태희 변영희 17.03.11 1127
170 소도 웃을 출산 장려책/ 이 숙 인 변영희 17.03.03 1118
169 인격은 성적순이 아니다 / 박석무 변영희 17.02.20 1149
168 아픔을 먹고 사는 예술의 힘/유 지 나 변영희 17.02.07 1178
167 대한 끝에 양춘 있다 /김준섭 변영희 17.01.20 1152
166 글쓰기, 널리 알아야 글을 쓸 수 있다 /유진 변영희 17.01.18 1232
165 낭만에 대하여 / 송 재 소 변영희 17.01.17 1187
164 새해에 다시 읽는 맹자의 일치일란(一治一亂) /노… 변영희 17.01.13 1483
163 재벌이 된 대군 부인의 행보 /이 숙 인 변영희 16.12.24 1245
162 집단 감성과 대중 지성 / 최기숙 변영희 16.12.02 1131
161 염치와 인지(仁智)/ 전백찬 변영희 16.11.10 1258
160 흙수저도 대접 받는다/박석무 변영희 16.10.24 1411
159 북한산의 가을 /조운찬 변영희 16.10.24 1423
 1  2  3  4  5  6  7  8  9  10  
 
한국수필작가회 http://www.essay.or.kr 사무국 이메일 master@essay.or.kr 사이트 관리자 이메일 hipe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