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필작가회
 
latest post | member list | registration of this day | search center
 
ID
PASS
자동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찾기
회원에 가입하세요, 클릭

| 작가회 신입회원 가입 안내 |

신간 소개
동인지 출간 목록
회원 작품집 출간
문학상 수상 기록표
추천 사이트
예술 작품 감상
에세이 100편 고전 수필
국내 산문 해외 산문

오늘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수
최고 방문자수
방문자수 누계

한국동인지문학관 바로 가기
한국수필가협회 바로 가기
 
  부산(釜山) 이야기(1)/ '부산', '자갈치'의 어원
  글쓴이 : 일만성철용 날짜 : 15-04-07 10:45     조회 : 3019    
부산(釜山) 이야기(1)/ '부산', '자갈치'의 어원 

부산(釜山)은 한반도 동남단에 있는 직할시로 한반도의 문호(門戶)요, 한국 제1의 국제 교역의 관문(關門)이며, 인구 400만여 명이 사는 한국 제2의 도시로 6.25때는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였던 경부선(京釜線)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한국 제1의 항구도시 부산은 옛날에는 동항(東港)은 상항(商港)이고 자갈치 시장이 있는 남항(南港)은 어항(漁港)이었다. 
명승고적으로는 소설이나 영화로 자주 보던 송도(松島)와 해운대해수욕장(海雲臺海水欲場), 동래온천, 영도대교(影島大橋), 태종대(太宗臺)도 그렇지만 최근에 본 영화 '國際市場'으로 부산은 우리들의 눈과 귀에 익숙하다. 
그러나 한국인으로 부산에 한번도 가보지 못한 사람이 의외로 많아 그런 분들에게는 부산은 생소한 곳이다. 
나도 그랬다. 교직(敎職) 시절 학생 따라 경주로 수학여행을 왔다가 서울행 열차를 타기 위해서 부산에 들려 용두공원(龍頭公園)을 올라 희미한 대마도를 보고온 것이 부산 방문의 처음인 것 같다. 부산은 우리들의 생활권이나 문화권 밖에 있는 곳이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 부산(釜山)이 자세히 보고 싶어 몇 년 전에 배낭에 며칠을 짊어지고 부산에 들려 이곳 저곳을 방문하였다. 허나 여행은 언제나 미련을 남기고 다니는 것이어서 '한번 더!'를 외우더니 오늘 부산이 고향인 친구 따라 부산에 왔다.
 "무궁화호는요, KTX보다 좌석 간격도 넓고, 부산 가는 동안 친절히 전국 역 곳곳마다 들려 여정을 챙겨 주기도 하지요. 그보다 더 좋은 것은 KTX와 달리 공휴일에도 우리 같은 백수(白首(에게 30%를 할인해 주는 서민 기차지요."
함께 한 KCCA L회장의 무궁화호 자랑이 한창이다. 나는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이라 그보다 '부산의 어원'이 더 궁금하다. 
 
-고려 때에는 이 고장 이름을 한자로 '富山'이라 하여 오다가, 조선 초에 '釜山'(부산)이라 한 기록이 보인다. '증산(甑山; 현, 동구 좌천동 서쪽)'의 다른 이름이 '부산(釜山)이었던 것이다. 그 무렵 그 근처 바다를 '釜山浦(부산포)'라고 불렀던 것이 부산이란 이름으로 굳어지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甑山'(증산)의 '증(甑)' 자의 뜻이 떡이나 쌀을 찌는데 쓰는 둥그런 기구인 시루인데, '釜山'(부산)의 '釜('부) 자도 솥을 뜻하는 가마로 야산의 모양을 비유할 때 흔히 쓰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釜山은 동평현(현, 당감동지역)에 있으며 산이 가마꼴과 같으므로 이 같이 불렀는데, 그 밑이 곧 부산포(釜山浦)이다." ('동국여지승람' 산천조)

부산 지도 편.jpg.

부산지도를 놓고 자세히 보면 부산은 산을 등지고 바다름 품은 형국이다.
그래서 해안선 따라 길게 동서로 뻗어나간 항구도시다. 함께 한 분의 아들이 사업차 부산에 내려와 있어 아버지의 친구를 모신다고 사업을 전폐하고 그의 차를 운전해 주는 덕분에 우리들 6명은 부산, 거제도, 통영, 삼천포로 3박 4일 여행의 호강을 한다.
영등포에서 8시 경에 떠난 무궁화호는 장장 5 시간 걸려서 초량진역에 우리를 풀어 놓는다. 마침 점심 시간이라 우리는 점심겸 회(膾) 하러 자갈치시장으로 직행하였다. 
 
*. 자갈치 시장의 어원
부산대교 촬영.jpg

 '부산(釜山)!'하면 생각나는 먹거리로는 단연 자갈치시장의 회(膾)다. 자갈치시장에 가보지 않고 부산에 다녀왔다고 말하지 말라고 할 정도로 자갈치시장은 유명하다.  

지금의 자갈치시장이 있는 중구 남포동 4가 일대는 지금은 동남아의 최대 어시장이 되었지만 개항(開港) 당시인 1876년 무렵에는 주먹만한 자갈이 많은 '남진정해수욕장'이 있었다. 
이 해수욕장 자갈 밭에서 해방 이후 일본에서 귀국한 사람들이 수산물을 노점상을 벌일 때였다. 그때 팔던 어류가 멸치, 갈치, 꽁치 등이어서 이곳 이름을 '자갈'에다 '치'를 더하여 '자갈치'라 하였다. '치'란 '이름씨  뒤에 붙어 물고기 이름을 내타내는 말이기 때문이다.
자갈치아즈매 편.jpg그 무렵 장사하는 사람들이 주로 아주머니들이어서  억척스러운 부산어머니의 상징으로 '자갈치아지매'란 말도 생긴 것이다. 그때 판잣집은 1960년대 다 헐리고 19754년에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서  지금은 '부산 어패류처리장'이 되어 1층에서는 활어, 전복, 선어 잡어 등을, 2층에서는 주로 회, 식품, 건어뮬 상가로 바뀌어 운영하고 있다.
우리는 거기서 자갈치 아지매에게 각종 세꼬시회를 흥정하여 사가지고 그 2층에 올라 점심을 하며 여행의 회포를 풀었다. 푸짐한 회를 먹고도 싶었지만 우리는 백수(白首)들이라 돈을 아껴 부산 일원을 돌며 식복(食福)보다 안복(眼福)을 조금이라도 더 누리기 위해서였다. 
 
                                                   -다음회 '영도 태종대'
 
 

 

 
 

 


류인혜   15-04-07 13:50
부산은 꿈 속의 도시입니다. 어릴 적 산에 올라 저 멀리로 내려다 보던 큰 배의 기억이 꿈처럼 잠겨 있습니다. 자갈치 시장에서 홍합과 새우를 사서 좁은 콘도 주방에서 익혀 먹던 즐거운 기억도 떠오릅니다. 일만 선생님의 뒤를 따라 다시 부산을 여행하는 두근거림으로 다음 편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임병식   15-04-07 14:45
선생님의 ㅗ앙성하신 필력에 경탄해 마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다시 국내로 돌아와서 부산을 조명해 주셨네요. 선생님 덕분에 굳히 현장을 가지 않고서도  앉아서 구경을 하게 됩니다.

신작 수필 발표
게시물 1,124
No Title Name Date Hit
944 부산(釜山) 이야기(1)/ '부산', '… (2) 일만성철용 15.04.07 3020
943 카프카의 족제비 (10) 김창식 15.04.05 2307
942 싱가포르의 영웅, 은인 李光耀 (1) 일만성철용 15.03.25 2157
941 인도네시아(Republic of Indonesia)(2) 여행기 (1) 일만성철용 15.03.25 1941
940 쌀 한 가마 (8) 이방주 15.03.24 2333
939 봄은 봄이다 !! (8) 정진철 15.03.23 1785
938 인도네시아 여행(1)/ 인도네시아에 가고 싶다 일만성철용 15.03.10 1944
937 3월 3일(화)은 삼겸살 Day 외 (1) 일만성철용 15.03.03 1941
936 설 이야기 (2) 일만성철용 15.02.16 2013
935 (6) 이방주 15.02.13 2220
934 변속기에서 배우는 인생 (10) 윤행원 15.02.10 2177
933 동양의 하와이 '오카니와' 여행(1) (2) 일만성철용 15.02.09 2040
932 입춘(立春)/ 2월 4일(수) (1) 일만성철용 15.02.02 2092
931 수다와 토론사이 (3) 한동희 15.01.31 1855
930 어린이집 선생님과 할아버지의 반성 (10) 이방주 15.01.20 2479
929 호랑이 놀이 (17) 최복희 15.01.18 2235
928 울고 싶은 자책감 (16) 정진철 15.01.18 2316
927 반 고흐 10년의 기록 展 (4) 박원명화 15.01.15 2247
926 '동지, 섣달, 정월' 명칭 이야기 (6) 일만성철용 15.01.11 3343
925 먼저 갑니다 (14) 정진철 15.01.09 2214
 1  2  3  4  5  6  7  8  9  10    
 
한국수필작가회 http://www.essay.or.kr 사무국 이메일 master@essay.or.kr 사이트 관리자 이메일 hipen@naver.com